티스토리 뷰
고용보험이라면 직장인들은 자동으로 가입되어 월급에서 고용보험료가 빠져나가게 되죠.
고용보험은 직장을 잃게 된 실업자에게 실업 보험금을 주거나, 직업 훈련을 위한 장려금을 기업에게 지원하는데 사용되는 사회기금으로 4대 보험의 하나인데요.
4대보험이란 의료보험, 국민연금, 산업재해보상보험, 그리고 고용보험이에요.
매달 받는 월급 명세서를 항목별로 자세히 보지 않는다면 고용보험료가 얼마나 나오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일거에요.
저도 월급 총액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받는 금액만 따져봤지, 항목별로는 자세히 확인한 적이 별로 없는데요.
고용보험료가 내 월급에 맞게 책정되어 납부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고용보험료 한 번 계산해 보세요.
계산방법을 몰라도 쉽게 계산해 볼 수 있는 방법 알아볼께요.
고용보험료 계산
고용보험료 계산은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계산할 수 있어요.
국민연금을 검색하여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로 들어가 주세요.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중간부분에 알아보기가 있어요.
알아보기에 있는 4대보험 계산기를 클릭하면 고용보험료를 계산할 수 있어요.
4대보험 계산기를 클릭하면 바로 계산을 할 수 있는 작은 창이 뜨는데요.
4대보험 중 고용보험료 계산 탭을 클릭해요.
그 다음 근로자 수를 선택하는데 내가 속한 사업장의 근로자 수를 먼저 선택해 주고요,
신고소득월액을 입력한 다음 계산하기를 클릭하면 계산이 자동으로 해줘요.
저는 150인 미만으로 선택하여 월급액을 300만원으로 입력했더니
고용보험료 총액은 64500원이고 그 중 근로자 부담액은 19500원이네요.
나머지 45000원은 사용자 부담액이구요.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고용보험료 뿐 아니라 다른 4대보험료도 계산 가능하니 필요할 때 사용해 보세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상위계층 조건 알아보기 (0) | 2016.09.22 |
---|---|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 7가지 알아보기 (0) | 2016.09.21 |
신세계상품권 현금교환 방법 알아보기 (0) | 2016.09.16 |
현금영수증 카드발급 방법 알아보기 (0) | 2016.09.07 |
근로소득세 계산기 사용법 알아보기 (0) | 2016.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