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하기 위해서나 다른 일에도 운전면허 취득일자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요. 운전면허증을 갱신한 이후에는 면허증에도 운전면허 취득일이 나와 있지 않아서 면허취득일은 도대체 어디에서 확인해야 하는지 궁금했었는데 정말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더라구요. 운전면허 취득일 확인려면 경찰청교통민원 사이트인 이파인 (www.efine.go.kr)에 접속하면 할 수 있는데요.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본인의 운전면허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 이파인 말고 정부24 사이트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저는 이파인이 좀 더 간편하게 느껴지네요. 운전면허 취득일 조회 먼저 경찰청교통민원24 사이트인 이파인에 접속하면 메인화면에 여러가지 메뉴가 보이는데요. 많이 보는 메뉴 중 운전면허 조회 메뉴를 클릭해도 되구요. 운전..
반지 살 때 예전에는 항상 매장에 가서 구경하고, 또 손에 맞는 사이즈를 껴 보고 없다면 본인에게 맞는 사이즈가 없다면 주문을 해서 받는 식으로 구입을 했었는데요. 아무래도 금으로 된 고가의 제품이라서 그랬던 것 같아요. 살 때 보증서도 항상 껴서 같이 받기도 했구요. 하지만 요즘에는 금값이 너무도 많이 올랐고, 그래서인지 패션 아이템으로의 반지도 많이 끼게 되는 것 같네요. 요새는 반지를 온라인 상에서도 많이 구입을 하게 되는데요. 반지를 구입할 때 오프라인 매장에서 산다면 반지 호수를 매장에서 링게이지와 같은 도구로 정확히 측정을 할 수 있겠지만 온라인에서는 반지 호수를 알고 있어야만 손가락에 맞는 반지를 구입할 수 있으니 집에서 반지 호수 재는 법을 알아야 반지를 딱 맞게 살 수 있겠어요. 반지 호..
건강검진 결과를 보게 되면 혈액 검사 결과쪽에 처음 들어보는 여러 용어가 나와서 결과를 봐도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것 같아요. 그 중 wbc 수치는 혈액 중 백혈구 수치를 의미하는데요. wbc 정상 수치는 어느 범위인지와 수치가 높거나 낮으면 무슨 문제가 있을 수 있는지 알아보았어요. WBC란 White Blood Cell의 약자로 혈액에서 적혈구를 제외한 나머지 세포, 즉 백혈구를 의미해요. 백혈구는 혈액을 분리하기 위해서 원심분리를 해 줄 때 적혈구와 혈장 사이에 흰 색 층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백혈구라는 이름이 붙어지게 되었다고 하네요. WBC 정상수치 wbc 정상 수치는 성인과 어린이가 약간 다른데요. 성인의 경우에는 혈액 1ul 당 4000개에서 10000개가 ..
CJ 계열사와 제휴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프트카드는 스마트폰 앱에 등록해 두고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쓸 수 있어서 좋은데요. 외식 뿐 아니라 CJ 계열의 다양한 곳에서 CJ 기프트카드를 사용할 수 있더라구요. 그런데 CJ 계열사라고 모든 지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건 아니라서 CGV나 투썸플레이스 같은 곳은 어떤 지점은 사용 가능하지만 또 어느 지점에서는 사용불가라고 되어 있는 곳도 있네요. CJ 기프티카드 사용처를 매장에서 구매한 다음에는 등록을 해서 사용하면 온라인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분실할 경우 사용정지를 시킬 수 있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요. 등록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해요. 온라인에서 구매한 기프트카드는 구매하면 자동으로 등록이 되게 되어 있구요. 올리브영과 같이 오프라인..
딱히 보고 싶은 프로그램이 없어도 티비를 틀어 계속 번호를 위로 올린다거나, 아래로 번호를 내려 보면서 혹시나 재미있는 프로를 하나 돌려 보곤 하는데요. 이렇게 위 아래로 티비 채널을 오르락 내리락 하다 보니 못 들어 본 채널인 드라마H에서 드라마 재방송이나 재미있는 예능 프로그램 재방송을 많이 하더라구요. 드라마h 채널은 지상파 방송이 아니다 보니 채널번호가 지역별로 혹은 가입한 케이블 방송사 별로 번호가 다르게 방송이 되고 있는데요. 지역별, 케이블 방송사 별로 방송되는 드라마h 채널 번호 모두 정리해 보았어요. 지역은 가나다 순으로 정리했으니 필요한 지역 검색 시 참고해 주세요. 드라마h 채널번호 먼저 통신사 IPTV의 경우에는 드라마h 채널번호가 전국에서 모두 동일하게 방송이 되는데요. SK 텔레..
저는 고무장갑을 사용하다 보면 꼭 오른손만 뚫어져 물이 새서 새 고무장갑으로 교체를 해야 되더라구요. 항상 오른손만, 그것도 둘째 손가락 부분에 구멍이 나서 못 쓰게 되던데요. 그러다 보면 구멍이 나지 않은 왼손 장갑도 버려야 해서 좀 아까운 기분이 들기도 하네요. 고무장갑을 버릴 때 항상 고민이 되던데요. 고무장갑을 재활용에 버려야 할지, 일반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버려야 할지가 좀 헷갈리더라구요. 고무는 왠지 재활용이 될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 또 가만히 생각해 보면 재활용 분리수거함에 종이나 비닐, 플라스틱 등 각각 분리해서 넣는 함 중에 고무는 본 적이 없는 것 같아서 재활용 항목이 아닌 것도 같고 잘 모르겠어서 검색을 해보니 재활용을 해야 한다는 것도 보이고, 재활용이 안 되는 글도 보여서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