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요요 컨테스트에서 우승한 챔피언 BLACK 이라는 일본인의 TED 영상을 봤는데요.어떤 일이든 열정을 가지고 임한다면 그 분야에서 인정받는 최고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했네요. TED BLACK 요요 정복을 위한 나의 여정 14살 때 낮은 자존감 어떤것에도 재능이 없다고 생각했던 BLACK은 요요를 산 이후 요요가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고 해요. 연습을 매일 몇 시간씩 하면서 몰두하면서 요요를 연습했고 결국 4년 후 18세 때에는세계 요요 컨테스트에서 우승을 하게되었다고 하네요. 세계 요요 컨테스트 이후 자신의 삶이 많이 변할 것이라 기대했지만 (많은 돈을 벌고 TV 출연도 하고 등등...)기대와 달리 어떤 변화도 없었고 다시 학교로 돌아가 대학 졸업 후 취업하여 시스템 엔..
과학분야에서 보면 세상은 정말 상상한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것 같은데요.우주 항공분야도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조만간 인류가 화성에서 살게 되는 것을 생각속에서만 상상하고 있었는데 그 일이 조만간생각보다도 훨씬 빠른 시기에 이루어질 거라고 하네요. 스티븐 페트라넥의 테드 강연, 여러분의 자녀는 화성에서 살게 될지도 모릅니다. 그 생존방법입니다.라는 영상을 봤는데 정말 흥미롭네요. TED 스티븐 페트라넥 여러분의 자녀는 화성에서 살게 될 지도 모릅니다. 우리 지구가 소행성 하나의 충돌로도 멸망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또 우리는 탐험에 대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이런 여러 가지 이유로 화성 탐사를 시작하게 되었는데요. 화성은 지구에 비해 크기는 절반 정도이지만 지구와 땅의 면적은 동일하..
인체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인체 해부학이 의학분야를 넘어서서 예술로 멋지게 활용되고 있다고 하네요.바네사 루이즈의 매혹적 예술로서의 인체 해부학을 보여 인체 해부도도 멋진 예술로 변할 수 있다는 걸볼 수 있었어요. TED 바네사 루이즈 매혹적 예술로서의 인체 해부학 해부학은 의학 공부한 사람이 아니면 잘 아는 분야가 아니라서 일반인들의 해부학적 지식은 부족한데요. 사실 신체 장기의 위치를 모르는 경우도 많고 장기의 기능도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도 많잖아요. 해부도는 해부학 공부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의과 교육에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요.과거에도 미술이 해부학에 영향을 주었다고 하네요. 해부학자들은 자신이 알아낸 것을 미술가의 도움으로 대중에게 알렸다고 해요.현재와는 많이 차이가 나는 그림을 볼 수 있었..
TED 강연 중 토니 포터의 남자들에게 고함이라는 강연을 봤는데요. 제목이 남자들에게 고함이라서 남자들의 이야기, 뭐랄까 남자들만의 약간은 마초스러운 그런 주제라고 생각했었는데저의 생각은 완전히 틀린 것이었더라구요. 찾아보니 토니 포터는 맨박스라는 책의 저자라고 하는데요.강연 내용도 맨박스 Man Box에 관한 이야기더라구요.맨박스란 남자다움이라는 틀에 갇혀 있는 남자를 뜻하는 말이네요. TED 토니 포터, 남자들에게 고함 남자들은 어릴 때부터 남성다움을 요구받게 되는데요. 토니 포터 자신도 1살 차이 연년생인 아들과 딸을 두고 있다고 해요. 딸이 어렸을 때 자신에게 와서 울면 눈물을 닦아 주면 울게 하면서 위로해 준 반면에아들이 자기에게 와서 울 때는 딸 보다 한 살 밖에 더 많지 않은데도 왜 우는지 ..
산제이 다스투어라는 사람의 TED 강연을 봤는데 색다른 스케이트보드에 대해 이야기했는데요. 요즘은 전동휠을 타는 사람들도 많이 보긴했는데 스케이트보드에 모터를 달아서 만든전동 스케이트보드를 소개를 해 주었어요.정말 여러모로 좋아보이더라구요. TED 산제이 다스투어 색다른 스케이트보드 자전거보다 가볍고, 15분분에 충전할 수 있는 편리한 교통수단인 부스티드 보드는문방구에서 파는 모형비행기용 리모컨과 모터를 스케이트보드에 붙혀서 새로운 교통수단을 만들어 보였는데요. 모터를 달았기 때문에 오르막길도 쉽게 올라갈 수 있구요. 리모컨을 이용해서 전진과 후진도 자유롭게 할 수 있더라구요. 무게도 가벼워서 가방에 넣거나 손에 들고 다닐 수도 있어서 전철이나 버스로 갈아 탈 때도힘들지 않아 보여서 정말 전천후로 사용할..
아프리카의 풍차소년인 윌리암 캄쾀바의 TED 이야기를 들었는데요.가난에 좌절하지 않고 스스로의 노력으로 자신의 앞날을 개척해 나간 이야기였어요. 아프리카의 남동쪽에 위치한 말라위라는 나라에서 인터넷도 컴퓨터도 구경하지 못한한 소년이 결국 바람을 길들여 계속 공부를 해 나갈 수 있었던 내용이었는데요. TED 윌리암 캄쾀바 제가 어떻게 바람을 길들였을까요? 지금은 22세의 청년이 된 윌리암 캄쾀바는 말라위라는 가난한 나라의 농부인 아버지와 어머니, 6명의 누이와 함께 살았는데요. 옥수수 농사를 짓던 윌리암네 가족은 2001년 가뭄으로 인해 농사가 안 되자 먹을 것도 제대로 못 먹고옥수수 죽으로 하루에 한끼씩만을 먹으며 지내게 되었다고 해요. 학비가 부족한 윌리암은 가뭄으로 인해 농사가 어려워지자 더이상 학교..